나는 관서에서 태어나 관서에서 자랐다. 아버지는 교토의 스님 자식이고, 어머니는 센바(오오사카시의 한 지역)의 장삿집 딸이니까, 백 퍼센트 관서 토박이라 해도 무방하다. 그러니 당연한 일이지만 관서 지방 사투리를 쓰며 살이 왔다. 그 이외의 언어는 말하자면 이단이고, 표준어를 구사하는 인간 중에는 쓸만한 인간이 없다는 몹시 내쇼널리스틱한 교육을 받았다. 투수하면 무라야마, 식사는 슴슴하게, 대학하면 교토 대학, 장어 요리하면 장어밥의 세계이다. 그러나 와세다에 들어가게 되어(와세다 대학이 어떤 대학인지도 거의 몰랐다. 그렇게 지저분한 곳인 줄 알았다면 아마 안갔을 거다) 선뜻 내키지 않는 기분으로 동경에 올라왔는데, 동경에 와서 가장 놀란 것은 어찌 된 영문인지 내가 사용하는 언어가 일주일 사이에 거의 완전하게 표준어 - 즉 동경 사투리 - 로 바뀌어 버렸다는 점이다. 나는 그런 말은 지금까지 써 본 적도 없고, 특별히 바꿔야겠다는 의식도 없었는데, 어느 사이엔가 그렇게 바뀌어 버렸다는 걸 문득 깨달은 것이다. 문득 깨닫고 보니 '그런 핑계를 늘어놔 봤자, 그거야 알 수 없지'하는 꼴이 돼 있었던 것이다. 같은 시기에 동경으로 올라온 관서의 친구들로부터 '너 말야, 그 말투, 관서 사투리 잊지 말고 써야 될 거 아니야. 엉터리 같은 말 쓰지 말라구'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이미 바뀌고 만 것은 어쩔 도리가 없다.
나는 언어는 공기와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느 토지에나 그곳만의 공기가 있고, 그 공기에 맞는 언어가 있어, 그것을 거역하기란 웬만해서는 불가능하다. 먼저 액센트가 바뀌고, 그러고는 어휘가 바뀐다. 이 순서가 반대가 되면, 언어는 쉽사리 마스터 할 수 없다. 어휘란 이성적인 것이고, 액센트는 감성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즉 나는 관서로 돌아가면 역시 관서 지방 사투리를 쓴다. 신칸선 코베역에 내리면 첫 마디가 벌써 관서 사투리로 돌아와 있다. 그러면 이번에는 거꾸로 표준어가 입에서 안 나온다. 친구의 견해에 의하면 '너 관서 사투리 어째 좀 이상한 거 아니야'인 모양이지만, 지금 막 도착했으니 별 수 없다. 일주일 정도 있으면 완벽한 관서 사투리로 돌아갈 수 있을 거다. 내 마누라는 삼 대째 계속되는 야마노테선 내족(이라고 한다)(야마노테션 전철은 동경의 중심부를 동그랗게 둘러싸고 있는 순환선이다. 그 안쪽에서 줄곧 살았다 함은 즉 동경 토박이를 말한다.)인데, 그녀도 얼마간 관서에 가 있으면 곧바로 관서 사투리에 물들어서는, '죄송하지만, 여기 가려면 어떻게 가면 되죠?'를 관서 사투리로 사람들에게 묻곤 한다.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가지고 뭐라 얘기할 수 는 없지만, 곁에서 보고 있으면 놀랍다. 언젠가 함께 이치가와 콘감독(1915 - , 미에현 태생, 영화감독)의 <싸락눈(타니자키 쥰이치로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것. 오오사카의 센바가 작품의 무대이다.)> 보고 난 다음 액센트가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아 한참을 애먹었다. 관서 지방을 무대로 한 영화를 보고 있노라면, 배우 중에도 사투리 습득에 능란한 사람과 서투른 사람이 있어 제법 흥미롭다. 능란한 사람은 공기처럼 사뿐 인토네이션을 체득하고, 서투른 사람은 지나치게 어휘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이런 경향은 천부적인 것인지도 모르겠다. 최근의 예를 들자면 <싸락눈>은 언어상으로 그럭저럭 합격이고, <도톤보리강(미야모토 테루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것, 역시 오오사카를 무대로 한 작품.)>은 한심했다. 옛날 영화로는 <부부 좋을씨고(1955년작. 도요다시로 감독에 의한 토호 영화사의 영화, 우유부단한 남자 주인공이 강직한 애인의 보호 아래 어리광을 피우며 살아간다는 내용이다.)>라는 훌륭한 관서 사투리 영화가 있다. 그러나 물론 이런 차이는 그 지방 사람이 아니면 알 수 없다. 도치기 사람들은 <원뢰(1981년작. 도치기현의 한 마을을 배경으로 택지 개발로 급격히 변화하는 도시 근교 농촌의 희비극을 그린 영화이다. 네기시 기치다로 감독 작품)>를 보고, 저런 건 도치기 사투리가 아니야 라고 말하는데, 나는 왜 그런지를 전혀 알 수가 없다. 외국어를 습득한다는 것도, 대충 이런 것과 마찬가지다. 일본에서 암만 영어 회화 공부를 해도, 실제로 외국에 가 보면 언어란 그런 인위적인 습득과는 상당히 다른 위상으로 성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는 번역 같은 것도 하니까 영어를 읽고 이해하는 데는 부자유스럽지 않지만 회화가 서툴러, 작년에 처음으로 미국 여행을 하기까지 거의 한마디도 영어를 주절거린일이 없다. 학교의 ESS나 영어 회화교실 같은 곳에서 모두들 영어로 토론을 하고 있는 현장을 목격하면 한기가 들어 - 이것은 물론 편견입니다, 죄송 - 도무지 영어 회화를 해 볼 마음이 생기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한 일주일 정도 있으면 익숙해지겠지 하고 가 봤더니, 거기에는 역시 그곳만의 공기 같은 게 있어 별다른 불편 없이 한 달 반을 지내며, 많은 작가들과 인터뷰까지 했다. 이런 것은 역시 순응력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일본에 돌아오면, 또 다시 영어로는 얘기하기 어려워진다. 관서 사투리 얘기로 되돌아가서, 나는 관서 지방에서는 아무래도 소설을 쓰기 힘들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그것은 관서에 있으면 결국 관서 사투리로 사고하게 되기 때문이다. 관서 사투리속에는 관서 사투리 특유의 사고 시스템이 있어, 그 시스템 속에 갇히고 나면, 동경에서 쓰는 문장과는 전혀 문장의 뉘앙스나 리듬, 발상이 달라지고, 심하면 내가 쓰는 소설의 스타일까지도 싹 바뀌는 것이다. 내가 줄곧 관서 지방에 살면서 소설을 썼다면, 지금과는 꽤 다른 분위기의 소설을 썼을 것 같은 느낌이다. 그 편이 나았을지도 모르겠다고 한다면 좀 괴롭지만.